개의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으로서의 음성(발성)은, 의인적으로 ‘개의말’이라는 표현이 흔히 사용된다.

그러나 개는 몇 가지의 극히 단순한 음성을 갖고 있는데 지나지 않고, 더욱이 사람처럼 고도로 발달된 언어를 자유로이 구사하지는 못한다.

 따라서 우리들은 그들이 무엇을 호소하고 무엇을 느끼고 있는지, 즉 그들의 의지나 감정을 이해하자면, 이러한 음성만으로서는 불충분하므로, 표정이나 거동도 함께 관찰할 필요가 있다.

개의 음성은 언어 발성이 아닌것만은 분명하지만, 그 변화나 의미의 차이에 따라 대략 다음과 같이 구별한다.


1. 짖음(baking, ‘멍멍’)

경계 본능에서 비롯되는 독특한 경계 발성으로서, 낯선 사람이나 다른 개가 자기가 사육되는 집이나 견사 또는 세력권에 접근하거나, 혹은 수상한 소리가 나면 짖어서 알리지만, 이것이 크다면 문지기 개의 역할을 다하지 못한다.


많은 개를 기르고 있으면, 한마리가 경계하여 짖으면 모든 개가 짖고, 그것이 근처의 개에게 파급되어 이른바 ‘그림자를 보고 한 마리가 짖으면, 그 소리에 백 마리가 짖는다’ 는 상태가 된다.

또한 최초의 개가 달리기 시작한 방향으로 다른 개도 달리는데, 이것들은 모방이 아니라 전파행동(傳播行動)이라고 생각된다. 개는 기쁠 때에도 멍멍 짖지만, 그러나 경계할 때보다 부드럽고, 표정이나 거동도 전혀 다르다.

이리(wolf)나 순수한 야생견(野生犬)은 “먼짖음”(울부짖음)을 하지만, 개처럼 짖는 일은 없다. 그러나 야생견을 견사(犬舍)에서 기르면 역시 짖게 되는데, ‘멍멍’이라는 단절음은 가축화에 의해 획득된 소리라고 생각된다.

강아지가 장난치면서 ‘멍’하고 짧게 짖는 것은 생후 3주일 후이다. 음조(陰助)는 소형견일수록 높고 날카로우며 급피치이고, 거꾸로 대형이 되면 될수록 저음으로서 굵고 느릿하지만 견종에 따라 각각 특징이 있으므로, 개를 잘 아는 사람은 목소리를 듣기만 해도 견종을 알아 맞춘다.


2. 신음(whining, ‘끙끙’ 또는 ‘힝힝’)

‘끙끙’ 은 욕구 불만으로 나타내는 콧소리인데, 예컨데 배가 고프다, 실내에 들어가고 싶다, 밖으로 나가고 싶다, 주인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 등의 경우에 여기저기 다니며 자못 슬픈 듯한 소리를 낸다.
또한 ‘힝힝’ 은 배가 아프다, 춥다, 덥다 등과 같은, 주로 지속적 고통을 호소할 경우에 곧잘 소리낸다.
강아지 등은 끙끙거리다가 참을 수 없게 되면 별안간 ‘깨갱깨갱’ 하며 높은 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다.

3. 울부짖음(howling, ‘워-워-‘)

멀리 있는 친구를 부르든가, 혹은 고독하여 쓸쓸할 때 짖는 가락이 긴 목소리이다. 한 마리의 개가 울부짖으면 다른 개는 머리를 곧바로 쳐들고 이것에 호응하여 울부짖는데, 비가 내리는 밤이나 조용한 산 마을에서 들을 수 있었다, 그림이나 영화에서 달을 보고 짖는 이리(wolf)의 모습이 묘사되는데, 그것이 이런 울부짖음이다.
일본의 궁중 제도는 당의 제도를 받아들인 것인데, 궁전에서 행가가 있어서 고관들이 입궐하면 문 양쪽에 있는 종들이 개의 울부짖음을 흉내내었고, 이런종을 구인(狗咽) 이라고 했다.

4. 위협(growling, ‘으르렁’)

상대를 혐오 또는 위협할 때 발하는 목구멍 소리이며, 네 다리에 힘을 주고 털을 곤두 세우며 송곳니(엄니)를 드러내면서, 이윽고 방어와 공격으로 옮기는 태도를 보인다.

투견(鬪犬)에서는 이것을 ‘맞서기 으르렁’ 이라 하며, 상대에게 공격받아 고통을 참고 신음하는 ‘으르렁’과는 구별된다.


5. 비명(yelping, ‘깨갱깨갱’)

격통(激痛)과 공포를 호소하는 높은 소리로서, 다른 짐승에게 물리든가 사람에게 발을 밟혔을 때 급피치로 외치는 울음인데, 이 경우 꼬리를 샅으로 끼어잡고 허리를 낮추어 도망칠 자세를 취한다.

개의 급소(急所)는 귀와 사지(四肢) 및 발바닥이다.


6. 공명(共鳴, singing)

사이렌이나 하모니카의 고음에 청각 신경을 자극받아 개가 곧잘 목을 좌우로 갸웃하는데, 고음에 반응하며 노래하듯이 울부짖는 경우도 있다.

이런 습성을 훈련에 응용하여, 매일 피아노 소리를 들려주고 쉬운 동요곡을 공명시키는 것에 성공한 사람이 있으며, 인간의 말을 기억시킨 사람도 있다.

이런 공명 현상은 대형견보다 별로 울부짖지는 않지만 신경질적인 소형 애완견에 많은 것 같다.

물론 음악을 이해하거나 사람의 말을 알아듣고 짖는 것은 아니며, 이를테면 ‘안녕’과 같은 단순한 말을 그것과 비슷한 소리로 짖게 하는 데 성공했을 정도이다.

그러나 훈련에 따라서 개를 음악에 맞추어 짖게 한다든가, 인간의 말에 가까운 발성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증된 셈이다.


7. 추적(baying)

사냥개가 사냥감을 발견하고 추적할 때 발하는 일종의 긴 인후음(咽喉音)이다.

예를 들어, 비글(beegle)이 토끼를 추적할 때 발하는 음악적이고 리트미컬 한 발성인데, 사냥개 이외에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다.

8. 하품(yawning)

평화롭고 한가로운 날이나 심심할 때, 크게 입을 벌리고 생리적인 하품을 하는 소리이다.


#### 청각이 뛰어난 개는 순간적으로 파열하는 소리나 폭발하는 소리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하여 반광란의 상태가 되는 것도 있습니다.



마운팅 현상에 대하여  ..


성적 욕구 외에 놀이의 한가지이기도


애견은 가끔 생각지도 못한 때에 교미 흉내(마운팅)을 낸다. 산책에서 만난 개에게 접근해 뒤에서 올라타기도 하고 사이좋게 놀던 개들이 갑자기 마운팅 자세를 취해 사육주를 당황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교미 흉내의 대상은 개에 국한되지 않는다. 어떨 때는 사람에 대해 이런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상대가 개인 경우는 한 마리가 다른 한 마리의 몸 뒤쪽으로 가 그 위로 올라타는 자세를 취하나 사람에 대해서는 앞다리를 올려 달려드는 자세를 취한다.


이것은 상대가 개이든 사람이든 교미를 하고 싶어하는 자세로 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곁에 있던 사육주로서는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개가 이러한 교미 행동을 취한다고 무조건 교미를 하고 싶어하느 것으로 착각 해서는 않된다.


개의 마운팅은 다음의 3가지 의미를 갖는다.


1) 성적 욕구에 의한 마운팅


성적욕구에 기인한 마운팅. 기본적으로 성견 수컷이 암컷에 대해 취하는 행동이다.
사육주에 따라서는 개의 마운팅은 전부 이것으로 단정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사실은 전혀 다르다. 사람에 대해 이런 의미로 마운팅하는 개는 없다.


2) 우위성을 나타내는 마운팅


개는 원래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로 무리내의 엄격한 서열을 갖는다. 따라서 개들에게는 누가 더 우위인지 명확하게 해둘 필요가 있다. 이 것을 확인하는 방법중의 하나가 마운팅으로 뒤쪽에서 올라타는 쪽이 우위에 있음을 나타낸다. 즉 경우에 따라서는 암컷이 이러한 행동을 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람의 인사처럼 의식화된 행동으로 성적의미는 포함하지 않는다.


3) 놀이로서의 마운팅


교미행동이 놀이로 전용되기도 한다. 모방은 놀이의 중요한 요소로 교미행동의 모방이 놀이가 된 경우이다.


가령 쫓고 쫓기는 놀이나 함께 엉겨붙어 뒹구는 등의 놀이 등도 사냥을 하던 때의 습성을 모방, 놀이로 전용한 형태이다. 즉 교미행동도 하나의 놀이에 불과하다.

개의 마운팅은 이처럼 3가지 의미를 갖는다. 다시 말해 모든 마운팅이 성적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오해는 개의 행동을 사람의 가치기준으로 판단하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사람에게 하는 마운팅은 성적인 의미가 아니다.


애견이 사람에 대해 마운팅 자세를 취하는 것은 성적욕구에서 비롯된 행동이 아니다. 위의 세가지 분류에서 보았듯이 두 번째는 우위성을 과시하기 위함이고 세 번째는 놀이의 일종이다.


대개의 경우 사람에 대한 마운팅은 놀이의 의미를 갖는다. 개는 단순히 몸을 맞대고 노는 놀이를 통해 우호적인 감정을 나타내려고 한다.


그러나 마운팅이 우위성으리 의미를 갖는다면 문제는 간단치 않다. 그것은 사람보다 자신이 우위에 있다고 여기는 권위증후군(자신을 무리의 리더로 착각하고 사육주의 말을 듣지 않는 것)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다.


개의 표정이나 태도를 보면 마운팅이 놀이인지 우위성의 과시인지 금방 알 수 있으므로 사람에 대한 우위성의 과시라면 즉시 못하게 하고 사육주가 개보다 우위에 있음을 확실히 인식시켜야 한다.

때로는 봉제인형이나 쿠숀 등에 마운팅을 하기도 하는 데 이것은 첫 번째의 성적욕구 와 세 번째의 놀이로 해석할 수 있다. 개도 인형이나 쿠션에 대해서는 물건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 우위성을 과시하지는 않는다.


사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봉제인형이나 쿠션이 주는 부드러움이 억제된 행동이나 의식을 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성적인 욕구 행동이 표출됨으로써 마운팅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수컷끼리, 암컷끼리 또는 암컷이 수컷에게 하기도 한다.


마운팅을 하면 수컷이 암컷에게 가하는 행동으로만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마운팅에는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 만큼 수컷끼리, 또는 암컷끼리 , 경우에 따라서는 암컷이 수컷에게 마운팅하기도 한다.


성견 수컷과 수컷, 암컷과 암컷이 마운팅을 할 때는 두 번째의 우위성 과시와 세 번째 놀이의 의미를 갖는다.

성견 암컷이 수컷에게 마운팅을 하는 경우도 이와 동일한 이유이나 이 밖에 가끔 발정기의 암컷이 성적 욕구로 인해 수컷에게 마운팅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


이에 비해 자견의 마운팅은 단순히 놀이의 의미에 지나지 않는다.
교미를 모방한 일종의 놀이로 형제견끼리 마운팅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개의 교미행동은 성적의미와는 무관할 때가 많다. 우위성을 과시하려고 할 때는 길들이기 차원에서 확실히 해 둘 필요가 있으나 단순한 놀이인 경우에는 그리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된다.

마운팅을 그만두게 하려면

마운팅이 항상 성적인 의미를 갖는 것을 아니지만 그만두게 하고 싶은 사육주도 있을 거시다. 마운팅을 했을 때 그것을 그만두게 하려면 콧등이나 뒷다리 접속부를 잡아 누른다. 개 사이에서도 어린 개의 행동을 나무랄 때 성견이 이 부분을 가볍게 문다.


이 부분을 쥔 채 가만히 있으면 개가 마운팅을 중지한다. 이것을 반복함으로써 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가르친다.


그래도 중지하지 않고 계속 마운팅을 하면 중성화하는 방법도 있다. 중성화 수술을 하면 성적욕구에 의한 마운팅이나 우위성 과시를 위한 마운팅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단, 한 살이 전에 거세하지 않으면 마운팅이 습관이 돼 완벽한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


엔퍼피닷컴(http://enpuppy.com) 의 퍼피가이드 부분과

도기앙(http://www.doggian.com) 의 고객게시판 부분을 참조하여 답변드립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인

Posted by Kelly Clarkson
,